이더리움 클래식 vs 이더리움 차이점
탄생일
이더리움은 클래식과 이더리움의 탄생일은 논란의 여지가 있다. 이더리움과 이더리움 클래식은 기존 하나의 이더리움이었지만, 해킹 사태로 인해 두 가지 코인으로 나뉘게 되었다. 지금의 이더리움은 해킹당한 물량을 되돌려 롤백을 하고 업그레이드를 지속하였고, 이더리움 클래식은 블록체인의 철학을 그대로 가져가면서 해킹당한 것은 코딩으로 만든 법을 따라서 생겨난 것이기 때문에 해킹을 당했더라도 해킹당한 물량에 대해서는 인정을 해주어야 한다라는 생각을 가지고 기존의 방식을 있어갔기 때문이다. 처음 이더리움이 탄생한 날은 2013년 말 2014년 초이다. 하지만 해킹은 2016년 5월이니 해킹 이후 어떤 이더리움이 진짜 이더리움이라고 할지에 따라서 탄생일의 기준이 나뉠 수 있다.
커뮤니티
이더리움과 이더리움 클래식의 커뮤니티는 차이를 보인다. 이더리움의 커뮤니티는 지속적인 새로운 개발자와 인원들의 유입으로 새로운 시도 빠른 확장성을 보이지만. 이더리움 클래식 커뮤니티는 고여있다고 할 수 있정도로 이더리움에 비해 소규모이지만 열열한 지지자 이기도 하다. 이더리움은 기업 이더리움 얼라이언스(기업 이더리움 연대)라는 조직이 있을 정도로 기업들도 많은 관심을 가지고 보는 프로젝트 중 하나이다. 기업 이더리움 연대에는 JP모건, 마이크로소프트, 스텐다드 차터드 은행 등 여러 큰 은행과 기업들도 들어가 있기도 하다.
기술력
이더리움은 수많은 개발자들이 지속적으로 유입되고 있는 플랫폼이다. 그러한 이유에서 커뮤니티에서는 끝없는 발전에 대한 토론이 이루어지고, 개발이 지속되고 있다. 그러한 이유에서 지속적으로 기술력은 고도화되고 실생활에 적용되는 탈중앙화 앱 Dapp들이 생겨나고 있다. 또한 이더리움은 채굴에서 소비되는 전기로 인한 환경적인 문제와 보안, 확장성의 이유로 PoS 지분 증명 방식으로 이동하지만, 이더리움 클래식은 예전의 기술을 고집하고 있다. 물론 이더리움 클래식도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를 하고 있다.
운영 채굴 방식
이더리움과 이더리움 클래식의 메인 차이점은 이더리움은 지분 증명 방식인 PoS로 전환을 시도하고 있지만, 이더리움 클래식은 PoW를 지속하려고 하고 있다. 그 이유는 채굴이 지분 증명 방식보다 더욱 탈중앙화 되어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이더리움 지분 증명으로 코인을 획득하려면 현재는 32개의 이더리움을 스테이킹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스테이킹이란 적금과 같이 기간 동안 예치를 해놓는 것이라 생각하면 되겠다. 하지만, 많은 이더리움 탈중앙화 앱들은 소액 예치로도 스테이킹을 도와주는 서비스들이 많이 생겨나고 있기는 하다. 이더리움은 반면에 채굴에 쓰이는 막대한 전력으로 인한 환경적인 문제, 소수의 채굴자들만이 네트워크에 참여 가능하다는 문제를 이유로 PoS 지분 증명 방식으로 전환을 하고 있다.
채굴 수익
현재 이더리움과 이더리움 클래식 모두 그래픽카드로 채굴이 가능한 코인이다. 하지만 이더리움이 이더리움클래식 보다 채산성이 높은 것은 사실이다. https://whattomine.com/gpus 그래픽카드에 따라 채굴 효율을 보여주는 사이트에 따르면 이더리움이은 대부분의 그래픽 카드에서 높은 수익률을 보여주고 있다. 그렇다고 이더리움 클래식이 낮은 채산성을 보여주는 것은 아니다. 이더리움 클래식 또한 높은 채산성을 보여주는 코인이기도 하다.
총 발행량
이더리움의 총발행량에 대한 제한이 없다. 하지만 매년 발행되는 이더리움의 제한은 있다. 이더리움은 1년 1800만 개의 이더리움만 발행될 수 있는 구조이다. 이더리움이 총발행량에 대한 제한이 없고, 매년 1800만 개의 이더리움을 발행하는 이유는 매년 잃어버리거나, 잘못 보내거나 사고로 시장에서 없어지는 이더리움량을 계산하여 적용한 것으로 앞으로 이더리움이 발전하면서 제한량과 발행량은 커뮤니티의 투표로 바뀔 수 있다. 이더리움 클래식은 2억 1천만 개 정도의 총발행량이 있다. 이는 비트코인보다 10배 많은량이며, 5백만 블록당 20%의 채굴량을 줄이는 계획을 가지고 있어 매 5백만 블록이 채굴될 때마다 보상은 20%씩 줄어든다.
이더리움 클래식 vs 이더리움 공통점
이더리움 클래식과 이더리움의 공통점은 두 코인 모두 현재는 PoW방식을 채택하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두 코인 모두 같은 뿌리에서 나온 코인이기 때문에 스마트 콘트랙트, 블록체인상에서 위 변조가 불가능한 계약을 성사시킬 수 있어 탈중앙화 앱 또는 탈중앙화 금융에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이 있다.
이더리움이란 무엇인가? | 간단 총정리 |
이더리움이란 무엇인가? 이더리움 이란 가상자산의 하나로 교환의 매개체이다. 이더리움은 비트코인에 이어 가상자산 시총 2위를 꾸준히 유지하고 있는 코인중 하나이다. 이더리움은 비트코인
nomad888.tistory.com
이더리움 클래식 이란? | 전망 간단 총 정리 |
이더리움 클래식 이란? 이더리움 "클래식"이라고 하면 클래식이 붙어 무엇인가 더 좋아 보인다. 하지만, 이름이 멋있다고 투자를 하다간 쪽박을 차는 순간이 오게 되어있다. 이더리움 클래식을
nomad888.tistory.com
(이 글은 투자 조언이 아니며, 투자는 본인의 책임이며 투자에 대한 어떠한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코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쓰레스홀드 코인 전망 | 간단 총 정리 | (0) | 2022.03.02 |
---|---|
샌드박스 코인 전망 | 간단 총정리 | (0) | 2022.02.28 |
이더리움 클래식 이란? | 전망 간단 총 정리 | (0) | 2022.02.26 |
비트코인 시세 왜 러시아-우크라이나 분쟁에 떨어지나? | 비트코인 전망 | (0) | 2022.02.25 |
리플 코인 이란? | SEC 전망과 총 정리 | (0) | 2022.02.22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