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금 투자 4가지 방법 - 꿀팁 세금 총정리 내용의 썸네일
금 투자하는 법

금 투자 하는 방법

금은 역사적으로 대표적인 안전자산으로 분류되어 왔다. 변색이 되지 않는 금색의 금은 장신구로써의 인기도 꾸준하지만 자산의 배분에서 빠질 수 없는 수단으로 여겨 저 왔다. 금을 소유하고, 투자하는 이유는 희소성에 있다. 금의 대부분의 쓰임처는 장신구로써 쓰인다. 하지만, 지구에 매장되어 있는 금의 양은 한정적이고, 매년 생산되는 금의 양은 정해져 있을 수밖에 없다. 금의 공급보다 금의 수요가 더 높은 것이다. 금은 아름답기도 하지만 늘 위기에서 빛을 발해왔었다. 이러한 금을 투자하는 데에는 여러 방법이 있다. 투자 방법에 따라 세금과 장단점이 있다.

 

 

1. KRX 금 거래소를 통한 금 투자

금을 실물로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닌, 금 시세 차익을 노리기 위한 것이라면 KRX 금 거래소를 이용하여 매매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이다. 그 이유는 현물로 금을 구매할시 내는 부가 가치세 10%가 면제되며, 양도/배당 소득세 또한 비과세이다. 금융종합과세에 대해서도 대상이 아니다. 하지만, 만일 금을 인출하게 된다면, 부가가치세 10%를 납부하고 2일 이내에 실물 금을 받을 수 있다. 출금은 100g, 1,000g 단위로 인출할 수 있다. 거래 시 비용은 증권사 수수료만 최대 0.3% 내외의  매매 수수료와 보관 수수료만 내면 된다.

단순히 금 시세 차익을 보기위해 금을 구매하는 것이라면, 증권사에서 금 현물 계좌(KRX전용) 계설을 진행하고, 매매를 진행할 수 있다. 금 매매 단위는 1g 씩 거래가 가능하다. 

 

KRX 금 거래소 장점

  • 단순 시세차익 거래시 부가가치세 면제(100g 1,000g 단위로 인출 가능하지만 인출 시 10% 부가가치세 부여)
  • 주식과 같이 증권사 계좌를 개설한다면 증권사를 통해서 쉽게 거래 가능
  • 양도소득세, 배당 소득세 비과세
  • 금융종합과세 비대상

 

2. 실물 금 구매 / 골드바 구매

실물 금을 구매하는 가장큰 메리트는 전쟁과 같은 비상상황 시 실제로 소유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금을 구매 시 금을 따로 잘 보관해 놓아야 하고, 실물 금을 구매시 부가가치세 10%를 내야 한다. 구매하는 동시에 10%의 손해를 보게 되는 것이다. 만일 금을 투자의 수단으로 생각한다면, 구매와 동시에 10% 손실을 보게 되는 것과 같은 것이다. 그런 이유에서 10%의 손실을 감수할 수 있고, 실물로 들고 있는 게 마음이 편하다면 금을 구매하여야 한다.

 

금을 구매 꿀팁

  • 골드바 구매시 발품을 팔면 조금 저렴한 시세에 살 수 있다. 네이버에 금은방을 검색하여 미리 전화를 해 금 가격을 물어보고 저렴한 곳으로 선정하여 구매하는 것이 더 이득일 수 있다.
  • 골드바 구매 시 온누리 상품권을 이용하여 구매할 수 있는데 온누리 상품권을 구매할 시 5%~10%의 금액을 싸게 살 수 있다. 온누리 상품권을 구매할때 지류 상품권은 5% 할인을 받을 수 있고, 모바일 상품권을 구매시 10%의 돈을 아낄 수 있다. 온누리 상품권을 금을 구매할 시에는 모든 금은방이 인정이 되는 것이 아니라 시장 상권으로 인정이 되는 곳에서 상품권으로 구매할 수 있으니 꼭 미리 시장 상권 금은방인지 확인하고 구매해야 한다.

 

3. 금ETF / 금ETN

상장지수 펀드와 상장지수 채권인 ETF를 통해서도 금을 구매할 수 있는데 금 ETF와 금 ETN에는 매매차익에 대해 15.4%의 배당소득세가 부과된다.  미국 금 ETF 또한 250만 원을 제외한 매매차익에 대한 22%의 양도 소득세가 부과된다. 미국 금 가격을 추적하기 때문에 환율과 괴리율에 따라서 국내 금 시세를 잘 따라가지 못할 수도 있다.

 

금ETF / 금 ETN 장점

  1. HTS를 통해 쉽게 사고팔 수 있음

금ETF / 금 ETN 단점

  1. 매매차익에 대한 15.4% 배당소득세
  2. 환율과 괴리율

 

4. 금 통장

은행에서 금 통장을 계설하고 입금 시 입금액에 해당하는 금을 국제시세에 맞춰 금 무게로 환산해 적립되는 시스템이 있다. 처음 통장을 만들 때에는 1그램 이상부터 가입 가능하지만, 추가로 금 구매 시 0.01그램부터 구입 가능하다. 금 통장을 이용할 시 은행에 따라 다르겠지만 최대 2%의 수수료를 지불해야 하고, 시세차익에 대한 15.4%의 이자 배당소득세가 붙는다. 또한 금 인출 시 2주간이 소요되며 10%의 부가가치세를 내야 한다

 

금 통장 장점

  1. 간편함(정기 계좌이체로 구매 가능)
  2. 소액투자가능
  3. 환급성

금 통장 단점

  1. 금융종합소득 과세 대상
  2. 차익에 대한 배당소득세 15.4%
  3. 통장이지만 원금보장이 되지 않음

 

 

금 투자 전망 | 세계 중앙은행 골드바 사고 있다?

금 투자 전망 금은 늘 위기에서 빛을 바렌 자산이다. 전쟁이 났을 때에 가장 먼저 챙겨야 하는 것은 골드바라고 할 정도로. 전쟁이 나면 사실 중앙은행이 발행한 화폐는 가치가 종이와 다르기 때

nomad888.tistory.com

 

반응형